루마의 일상생활

I'm student developer, ruma.
- 장만기

Python 2

[파이썬] Fast API 로 API 기본 틀 구축

클라이언트가 데이터 베이스에 직접적으로 접촉하는것은 보안상으로도 매우 위험합니다.따라서 우리는 클라이언트와 서버를 나누어 서로 통신 하도록 합니다.서버는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받아 자신이 가지고 있는 정보를 제공합니다.서버는 보통 데이터 베이스에 있는 데이터들을 읽고, 지우고, 업데이트 하는 역할을 하는 것입니다.우리가 편의점에서 계산을 할때와 한번 비교해 보도록 하겠습니다.서버를 계산원, 클라이언트를 저라고 하고, 데이터 베이스를 돈통이라 하겠습니다.제가 계산원에게 계산을 해달라고 부탁하면 계산원은 제가 지불한 돈을 돈통에 넣고 돈통에서 꺼낸 잔돈과 영수증을 줍니다.제가 직접 계산한다고 한다면 돈통에서 돈을 몰래 빼돌릴 수도 있는 상황이 생길 수 있습니다.그래서 그 사이에 계산원이 있다고 생각하시면 왜 ..

프로젝트 2024.08.02

Python으로 API에 요청 보내고 데이터 받기

만약 여러분들이 매일 평균기온을 구해야 한다면 어떻게 하실 건가요?직접 하루종일 기온을 측정하는 기계를 만들어서 평균 값을 내어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할 수도 있지만 이는 무척 귀찮은 일이 될겁니다.그래서 여러분들은 인터넷에 조금만 검색을 하신다면 공공데이터포털에서 제공하는 기상청_지상(종관, ASOS) 일자료 조회서비스를 찾으실 수 있으실겁니다. 그런데 이거 뭐 API 하나 알아가지고 뭘 할 수 있겠습니까... 보통은 새 탭 하나 열어서 URL 에다가 API URL 붙여넣고 데이터 오는걸 보고 이걸 자동으로 어떻게 처리해야 할지 막막하실 겁니다. 그래서 이번에는 Python으로 API 에다가 데이터를 요청하고 데이터를 받아오는것까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여기에서는 기상청 지상 일자료 조회서비스를 기준으..

코딩 2024.06.02